OTT 서비스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각 플랫폼은 계정 공유에 대한 제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티빙은 2025년 4월 2일부터 계정 공유를 제한한다고 발표하며, 이용자들의 큰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티빙의 새로운 계정 공유 정책을 포함하여
넷플릭스, 디즈니+, 쿠팡 플레이의 계정 공유 제한 방식을 비교해보겠습니다.
티빙 계정 공유 정책 변화
티빙은 2025년 4월 2일부터 계정 공유를 가족 외의 사람들과 제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넷플릭스와 유사한 정책으로, 계정 공유를 통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주요 내용
- 기기 등록 필수: 주 계정 소유자는 자신의 계정을 사용할 기기를 등록해야 하며, 등록된 기기에서만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 최대 3명의 추가 사용자: 주 계정 소유자를 포함해 총 4명까지 사용 가능하며, 타 가구와의 공유는 금지됩니다.
- 기기 등록 및 관리: 사용자는 티빙의 기기 관리 메뉴를 통해 기기를 등록하고, 언제든지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티빙의 이러한 정책 변화는 수익성 문제와 불법적인 계정 공유를 방지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이 있는 것입니다.
넷플릭스 계정 공유 제한
넷플릭스는 2023년부터 계정 공유 제한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의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 계정 공유 제한: 주 계정 소유자가 계정을 등록한 가구 외 사람과 공유할 수 없습니다.
- 추가 사용자 요금: 계정 공유를 원할 경우, 주 계정 소유자가 추가 요금을 지불하고 다른 가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추가 사용자 계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기기 등록: 주 계정 소유자는 사용하는 기기를 등록하여, 등록된 기기에서만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계정 공유를 통한 수익 감소를 막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러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디즈니+ 계정 공유 정책
디즈니+는 계정 공유에 대해 비교적 유연한 정책을 제공합니다:
- 계정 공유 가능: 디즈니+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가구 내에서 계정 공유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 기기 등록 및 관리: 한 계정에 대해 최대 4개의 기기를 등록할 수 있으며, 기기 등록은 주 계정 소유자가 관리합니다.
- 추가 사용자 요금: 가구 외 사람과 공유할 경우 추가 요금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디즈니+는 계정 공유 제한이 다소 느슨한 편이지만, 가구 외부와의 공유에 대해서는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쿠팡 플레이 계정 공유 정책
쿠팡 플레이는 다른 OTT 서비스들보다 계정 공유에 대해 좀 더 관대합니다:
- 기본 계정 공유 허용: 쿠팡 플레이는 현재까지 계정 공유에 대한 제한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특히, 가구 내에서는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기기 등록 제한 없음: 현재 쿠팡 플레이는 기기 등록이나 추가 요금을 부과하는 정책을 강하게 시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 계정 공유에 대한 규제: 쿠팡 플레이는 국내 시장을 타겟으로 하고 있어, 다른 OTT 서비스들처럼 엄격한 계정 공유 제한을 두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향후 변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티빙, 넷플릭스, 디즈니+, 쿠팡 플레이 계정 공유 정책 비교
티빙 | 가족 외 공유 금지, 최대 3명 추가 사용자 | 없음 | 기기 등록 필수 |
넷플릭스 | 계정 공유 제한, 추가 사용자 요금 부과 | 있음 | 기기 등록 필수 |
디즈니+ | 동일 가구 내 공유 가능, 외부 공유 시 요금 부과 | 있음 | 기기 등록 필수 |
쿠팡 플레이 | 계정 공유 제한 없음, 기기 등록 규제 약함 | 없음 | 제한 없음 |
계정 공유 정책, 어떤 서비스가 유리할까?
티빙, 넷플릭스, 디즈니+, 쿠팡 플레이 등 각 OTT 서비스들은 계정 공유를 제한하고 있으며, 그 방식과 강도가 다릅니다.
티빙은 넷플릭스와 유사한 정책을 도입하여, 계정 공유를 제한하고 주 계정 소유자와
가족 외의 사용자에 대한 제약을 두고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이미 계정 공유 제한을 시행하고 있으며,
디즈니+와 쿠팡 플레이는 비교적 느슨한 정책을 유지하고 있지만,향후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변화는 각 서비스의 수익성을 높이고,
서비스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로서는 각 플랫폼의 정책을 고려하여 적합한 OTT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한국에서 인기 있는 OTT 서비스 비교: 가격, 콘텐츠, 강점 분석
한국에서 인기 있는 OTT 서비스 비교: 가격, 콘텐츠, 강점 분석
OTT(Over-the-Top) 서비스는 이제 TV뿐만 아니라 모바일, PC에서도 쉽게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해줍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글로벌 플랫폼인 넷플릭스를 비롯해 국내 플랫폼인 웨이브, 티빙, 디즈니+
parkbing9.tistory.com
'K-실험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 암호화폐 시장 동향: 테더(USDT) 스테이킹과 리플(XRP) 현물 ETF (3) | 2025.03.31 |
---|---|
제19회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 경상남도에서 열린다! (4) | 2025.03.31 |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 경남에서 펼쳐지는 뜨거운 열전! (1) | 2025.03.31 |
고운사, 천년 고찰 산불로 전소…문화재는 대피 완료 (0) | 2025.03.26 |
한국에서 인기 있는 OTT 서비스 비교: 가격, 콘텐츠, 강점 분석 (1) | 2025.03.25 |